2020 Team Project

Photography, Video design, Logo Design,
Adobe Photoshop, 
Adobe Premiere Pro, Adobe After Effect
#Role
Project Planning 100% 
Concept Planning 70%
Photography 100%
Filming & Editing 100%
Video Design 100%

‘RETRA HANBOK’ 프로젝트는 한국 전통문화를 지키고 한국의 것을 세계적으로 알리고자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낯선 것이 참신한 것이 되는 NEWTRO 문화처럼 옛것을 현대에서 재해석하여 문화를 변화시켜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The “RETRA HANBOK” project aimed to protec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mote Korean things worldwide. Like the Newtro culture in which unfamiliarity became novel, I wanted to reinterpret the old things from
the present and continue by changing the culture.
NAMING
RETRA는 RE와 TRADITIONAL의 합성어로, 전통의 것을 현대로 가져왔다는 프로젝트의 아이덴티티를 담고 있습니다.
RETRA is a compound of re and traditional, containing the identity of the project that brought traditional to the present.
Logo
RETRA의 로고는 타이포들을 연결하여 과거와 현재의 만남과 교류를 표현했습니다.
Logo connects various types to express past and present encounters and exchanges.
color system
‘과거와 현재의 중심에 있다’라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담기 위해 한국의 전통 오방색에서 ‘중앙’을 뜻하는 황색으로 선정하였습니다.
In order to capture the main message of the project “standing in the center between past and present”, among Korea’s traditional five colors, the yellow was chosen as main color to mean “the center”.
fashion design
한복은 한국의 아름다운 고유 의복으로, 과거에는 평상복이었지만 오늘날에는 특별한 날에 입는 옷이 되었습니다. RETRA는 한복을 평상복화하고자 합니다. 청바지와 한복 저고리, 그리고 운동화. 한복의 치마에서 영감을 받아 자체 제작한 탑 원피스. 문화적으로는 미스 매치이지만, 실제로 구현해냈을 때 이질감 없이 어울릴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여 프로젝트의 의의를 패션을 통해 강조하였습니다.
Hanbok is Korea’s own beautiful clothing, and in the past it was used to casual style in the past,
but nowadays it is worn only on special days. Taking account for that, with RETRA I wanted to make casual hanboks, like Jeans, hanbok jeogori, sneakers, along with top-dress inspired by hanbok skirts. In cultural sense it might not fit well with each other, but emphasizing the tradition meaning in the project through fashion, I would like to say that anything can be matched without any difference when actually implemented.
태극 문양에서 모티브를 받아 적색과 청색 컬러 조명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고자 함을 표현하였습니다.
한복의 전통미가 두드러지는 의상에서는 현대적인 소품을 매치하였고,
현대적인 미가 두드러지는 의상에서는 전통적인 소품을 매치하여 촬영하였습니다.
I got a motif from the Taegeuk pattern applying red and blue color lights. Doing so, I expressed my intention to promote Korean culture globally.
Modern props were matched in costumes with outstanding traditional beauty of hanbok, and traditional props were matched in costumes with outstanding modern beauty.
Top